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우리 아이, 왕따 당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

by journal2758 2025. 4. 2.
반응형

학교에서의 따돌림(왕따)은 아이의 자존감과 정신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부모로서 가장 걱정되는 부분 중 하나는 "우리 아이가 왕따를 당하지 않도록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하는 문제일 것입니다.

왕따를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사회적 기술을 길러주고, 가정에서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하며, 아이가 건강한 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아이의 대인관계 능력을 키우고, 왕따를 예방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사이 좋은 친구 관계

1.  왕따가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왕따는 단순히 피해자의 문제만이 아니라, 가해자, 방관자, 학교 문화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합니다. 왕따를 하는 문화가 근절되어야 하지만 먼저 우리 아이가 그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합니다. 부모들이 여러 가지 상황에 따라 미처 놓칠 수도 있으니 관심을 기울입니다.

 

✅ ①  또래 관계에서 소외되는 경우

✔ 또래들과 쉽게 어울리지 못하고 혼자 노는 경우에 해당됩니다.
✔ 지나치게 소극적이거나, 반대로 과하게 튀는 행동을 보일 때가 해당됩니다.

 

✅ ②  감정 표현이 서툴거나 의사소통 문제가 있는 경우

✔ 화가 나면 무조건 참거나, 반대로 과격하게 반응하는 경우가 해당됩니다.
✔ 자기 의견을 표현하지 못해 쉽게 무시당하는 경우도 이에 해당합니다.

 

✅ ③  외모나 성격 등으로 차별받는 경우

✔ 신체적 특징(체형, 피부색, 장애 등)이나 경제적 수준 차이로 차별받는 경우입니다.
✔ 남들과 다른 취향(옷 스타일, 취미 등) 때문에 놀림을 받는 경우도 있습니다.

 

✅ ④  학교 분위기와 가정환경의 영향

✔ 학교에서 따돌림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교사 개입이 적을 경우 왕따 문화가 형성될 수 있으니 학교나 교사의 관심이 필요합니다.
✔ 가정에서 충분한 정서적 지지를 받지 못한 아이들이 쉽게 위축될 수 있어서 그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아이의 성격이나 행동뿐만 아니라, 환경적인 요인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2.  우리 아이가 왕따를 당하지 않도록 하는 5가지 방법

✅ ①  또래와 잘 어울리는 ‘사회적 기술’ 키워주기: 사회적 기술의 기초는 어린 시절, 유아기에 형성됩니다. 어떻게 보면 어느날 갑자기 왕따를 당하는 것이 아니라 성장하면서 적절한 사화적 관계의 역량이 부족할 시 그 빈도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필자는 유아기의 부모의 역할이 사회적 역량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준다고 보기에 이 시기보다 사회적 역량, 기술 형성에 관심을 기울입니다.

✔ 아이가 또래들과 자연스럽게 어울릴 수 있는 기본적인 대인관계 능력을 길러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 사회적 기술 키우는 방법
🔹 인사하는 습관 – 친구들과 마주칠 때 먼저 "안녕!" 하고 인사하는 연습을 합니다.
🔹 눈을 맞추고 대화하기 – 상대방의 이야기에 반응하며 경청하는 법을 익히게 합니다. 아이가 다른 아이와 대화하는 기술을 배워 적절히 활용하게 합니다. 이는 부모들이 대화하는 기술을 보며 자연스레 배우기도 합니다.
🔹 대화 참여 연습 – 친구들 대화에 자연스럽게 끼어드는 법을 배우도록 하여 ("나도 그런 적 있어!", "그거 재미있겠다!") 자연스레 친구들과 대화하도록 합니다.

💡 부모가 할 수 있는 일:
🔹 집에서 역할극을 통해 대화 연습을 시켜주는 기회를 갖습니다.
🔹 가족 모임이나 친척들과 대화할 기회를 많이 만들어 줍니다.

 

✅ ②  자존감 키워주기 – "나는 소중한 존재야!"

✔ 자존감이 높은 아이일수록 또래의 부정적인 평가에 쉽게 휘둘리지 않습니다.

💡 자존감 높이는 방법
🔹 아이의 장점을 찾아 자주 칭찬하도록 합니다. ("넌 참 배려심이 많구나!", "그림을 정말 잘 그리는구나!")
🔹 실수해도 괜찮다고 말해줍니다. ("괜찮아, 실수는 누구나 해!")
🔹 비교하지 않기 – "너 왜 친구처럼 못해?" 대신, "넌 너만의 장점이 있어!"라고 격려합니다.

💡 부모가 할 수 있는 일:
🔹 아이가 좋아하는 활동(운동, 음악, 미술 등)을 찾아서 지원합니다.
🔹 부모가 아이를 있는 그대로 존중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 ③  갈등을 해결하는 법 가르치기

✔ 아이들이 갈등이 생겼을 때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 모르면, 쉽게 위축되거나 공격적으로 반응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평소에 갈등이 생겼을 떄 어떻게 해야 하는지 훈육이 되어야 합니다. 또한 부모들이 갈등에 처했을 때 어떻게 해결하는지 모델이 되어 주는 겁니다. 부모는 아이의 거울입니다. 아이는 부모의 평소의 행동을 보고 배웁니다.

💡 갈등 해결 능력 키우는 연습
🔹 화가 났을 때 바로 반응하지 않고, "잠깐 멈추고 생각하기", 시간을 갖고 기다립니다. 타임 아웃.
🔹 기분이 나쁠 때 "너 왜 그래?" 대신 "나는 이렇게 느껴" 라고 표현하는 법을 익혀서 사용합니다. 나-잔달법.
🔹 문제가 생겼을 때 선생님이나 부모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방법을 가르칩니다.

💡 부모가 할 수 있는 일:
🔹 집에서 형제, 자매 간 갈등이 있을 때 어떻게 해결하는지 지도합니다.
🔹 "만약 친구가 네 물건을 빌려가고 안 돌려주면 어떻게 할 거야?" 같은 가상의 상황을 연습하도록 합니다.

 

✅ ④  아이가 믿고 의지할 수 있는 ‘심리적 안전지대’ 만들기

✔ 가정이 아이에게 가장 안전한 공간이 되어야 합니다.
✔ 아이가 집에서 편안하게 자신의 감정을 표현할 수 있어야 합니다.

💡 심리적 안전감 키우는 방법
🔹 아이가 힘든 일이 있을 때 부모가 비판하지 않고 경청하도록 합니다. 
🔹 감정 표현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합니다.("오늘 학교에서 기분 어땠어?")
🔹 "네 잘못이야!"라고 말하기보다 "그 상황이 많이 속상했겠다."라고 공감해 주도록 합니다. 그래야 아이가 언제나 부모는 내 얘기를 들어준다는 믿음을 갖고 표현합니다.

💡 부모가 할 수 있는 일:
🔹 하루 10~15분 정도 아이와 단둘이 이야기하는 시간을 갖도록 합니다.
🔹 "어떤 일이 있어도 엄마 아빠는 네 편이야."라는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전달하도록 합니다. "우리 부모는 언제나 내 편이야"라는 믿음을 갖도록 합니다. 

 

✅ ⑤  왕따의 신호를 빠르게 감지하고 대처하기

✔ 아이가 왕따를 당할 가능성을 줄이려면 부모가 아이의 변화를 빨리 감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왕따 징후 체크 리스트
🔹 갑자기 학교 가기를 싫어합니다.
🔹 예전보다 말수가 줄어들거나 우울한 기분이 많아집니다.
🔹 친구 이야기를 하지 않거나, 친구가 갑자기 바뀝니다.
🔹 핸드폰이나 SNS를 자주 확인하면서도 불안해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 부모가 할 수 있는 일:
🔹 아이가 고민을 이야기할 수 있도록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합니다.
🔹 "혹시 학교에서 힘든 일 있어?"라고 자연스럽게 물어보도록 합니다.
🔹 필요할 경우 선생님과 상담하여 학교 분위기를 파악하도록 합니다.

결론: 아이가 건강한 관계를 형성하도록 돕는 것이 왕따 예방의 핵심!

✔ 왕따를 예방하려면 사회적 기술, 자존감, 갈등 해결 능력을 길러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 부모가 아이에게 심리적 안전지대가 되어주고, 적극적인 관심을 기울여야 합니다.
✔ 아이가 힘든 상황에 처했을 때, 부모가 먼저 신호를 감지하고 대처해야 합니다.

👉 가장 중요한 것은, 부모가 아이의 가장 든든한 지원군이 되어주는 것입니다. 💕
"어떤 일이 있어도 넌 소중한 존재야!"라는 메시지를 꾸준히 전달해 주세요! 😊

반응형